티스토리 뷰

네이버에 디데이계산기를 검색하면 바로 날짜를 계산할 수 있는 계산기가 나옵니다.

디데이 +/- 계산이 다 가능한데요,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은 헷갈릴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저와 같이 네이버 디데이계산기, 즉 날짜계산기 활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1. 디데이+ 계산
날짜계산기를 보면 기준년월일로 활용할 수 있는 계산이 3줄 나옵니다.

디데이+ 계산은 기념일에 주로 사용하는데요, 첫번째 줄을 사용하면 됩니다.

결혼 날짜나, 사귀기 시작한 날 등을 기준년월일에 적습니다.

그리고 100일, 1000일, 1년 등의 날짜를 첫번째 줄에 적어 그 날짜가 언제인지 확인합니다.

어렵지 않죠?^^

 

 

2. 디데이- 계산

일반적인 디데이- 계산은 두번째 줄과 세번째 줄 모두 사용해야 합니다.

먼저 세번째 줄!

 

 

오늘을 기준으로 기준년월일에 날짜를 선택합니다.

디데이 날을 세번째 줄에 적어 계산합니다.

디데이- 계산은 여행 등 쓸 일이 정말 많은데요,

저는 얼마 남지 않은 수능일을 기준으로 잡았습니다.

수능날까지 39일이라고 뜨네요!

 

 

두번째 줄은 확인용으로 씁니다.

기준년월일에 수능날짜를 적고, 디데이 39일이 오늘인지 확인하면 되는거죠!

여기서 헷갈리는 부분 하나!

바로 날짜계산은 기준일을 1일로 포함한다는 것입니다.

아까 세번째 줄 계산에서 39일이라고 나왔지만, 기준일을 포함한 계산이었기 때문에

디데이- 계산시에는 -1일을 빼야 디데이가 됩니다.

디데이 당일은 D-day 0일이기 때문에 하루를 빼야 하는거죠!

 

 

어떤가요? 이해가 가시나요??

디데이+ 계산은 어렵지 않지만, -계산은 헷갈리는 부분이 있을거라 생각돼 포스팅을 해봤습니다.

사실 디데이라고 하면 +보다 -계산을 많이 하기 때문에,

네이버 계산기는 기준일을 포함한 계산기라는 것을 염두해 두고 디데이를 확인하면 되겠습니다.

그나저나 오늘로부터 수능까지 D-38이군요! 수험생분들 조금만 더 힘내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