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직장인이라면 4대보험을 꼭 들어야합니다.

4대보험이라고 하면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이 4가지의 보험을 말합니다. 

아르바이트생도 4대보험은 들 수 있습니다만, 

적은 임금에 4대보험비에 대한 부담감으로 가입 안하시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안 들면 손해지만 매달 월급에서 4대 보험비가 빠져나갈 때, 아까운 건 사실입니다.

모든 보험이 그런 것 같습니다ㅠㅠ

떄에 따라 월급에서 보험비가 얼마가 빠져나갈지, 계산해봐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4대보험계산, 쉽게 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네이버에 '4대보험계산기' 를 검색합니다.

검색하시고 창을 밑으로 조금 내리시다보면, 4대보험에 관한 설명이 나와 있습니다.

거기서 노란색 형광펜으로 줄그어진 '4대보험 계산기' 를 클릭합니다.

바로 계산기 창이 뜹니다.



1. 국민연금

월 200만원 월급을 가지고 모의계산을 해보겠습니다.

국민연금은 총수입예정금의 9%입니다.

9%로 안에서 자신과 회사에서 반씩 부담을 하는 것이지요.

계산하면, 200만의 경우에 근로자의 부담금은 90,000원이 됩니다.



참고! 28만원 미만인 경우에도 28만원 기준으로 계산하시고,

434만원 이상인 경우에도 434만원을 기준으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2. 건강보험

건강보험은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로 나뉘어 지는데요!

건강보험료는 총수입예정금에 6.12%입니다. 그걸 반으로 나눈 가격이 납부해야할 부담액입니다.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 근로자부담액의 6.55%입니다. 또 그걸 반으로 나눈 가격이 근로자 부담액입니다.

이해가 어려우신 분들은 그냥 계산기로 확인하시면 됩니다.



3.고용보험

고용보험의 경우에는 회사의 근로자 수를 대략 선택하시고 계산하셔야 합니다.



4. 산재보험

산재보험은 고용보험과 세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떤 사업장에 근로하고 있다면 산재보험은 의무로 가입하셔야 합니다.

다른 보험과 달리 산재보험은, 문제시 사업주가 100% 부담하는 보험입니다.



여기까지 4대보험 계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계산기가 다 해주는 일이니 편하게 계산할 수 있겠죠??

다만, 산재보험료에 관해서만 근로복지공단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2016년 기준의 보험료이기 때문에, 2017년에는 달라질 수 있다는 점 유의하세요~!


댓글